어떤 고양이가 있습니다. 상자 속에 있는 이 고양이는 살아 있을 수도 있고, 죽어 있을 수도 있습니다. 하지만 상자를 열어보기 전까지 우리는 그 상태를 확정할 수 없습니다. 이것이 바로 물리학자 슈뢰딩거가 제시한 ‘양자 중첩’ 개념입니다. 하나의 상태로 확정되기 전까지, 모든 가능성이 동시에 존재한다는 의미입니다.🐈⬛
이제, 상자 속에 들어 있는 것은 고양이가 아니라 인류의 미래입니다. 양자컴퓨터가 상용화되면, 우리는 지금과 전혀 다른 세상을 살게 될 것입니다. 기존의 슈퍼컴퓨터가 수십 년 걸릴 계산을 단 몇 초 안에 끝내고, 신약 개발부터 금융 시스템, AI, 암호기술까지 모든 것들이 다시 새롭게 설계될 것입니다.💡
하지만 이 상자를 열어보기 전까지, 우리는 아직 아무것도 확신할 수 없습니다. 양자컴퓨팅이 상용화될까요? 아니면 끝없는 기술적 난제에 갇혀 버릴까요?😶
엔비디아의 CEO 젠슨 황은 지난 1월 열린 CES 2025 기조연설에서 “양자컴퓨터의 실용화는 아직 먼 미래”라고 일축했습니다. 하지만 놀랍게도 젠슨 황은 다른 한편으로는 엔비디아가 주관하는 GTC 2025 행사에 양자컴퓨팅 업계의 거장들을 모두 불러모으고 있었습니다. 마치 상자를 열어볼 준비를 다 마친 것처럼 말입니다.🔍
그렇다면 이제, 우리도 더 이상 ‘상자 열기’를 미룰 수만은 없습니다. CEO인사이트 이번 호에서는 젠슨 황의 이러한 이중 전략이 무엇을 의미하는지 분석하고, 양자컴퓨터가 각 산업에 미칠 영향을 심층적으로 조명합니다. 그리고 이 기술이 우리의 비즈니스 환경을 어떻게 바꿀 것인지 예측해 봅니다. CEO를 위한 지식방송, 매일경제TV가 선보이는 프리미엄 플랫폼 CEO인사이트에서 그 답을 찾길 바랍니다.🙋
“실제로 쓸만한 양자컴퓨터가 나오려면 15년에서 30년은 걸릴 겁니다.”🖥️
지난 1월, CES 2025 기조연설에서 엔비디아 창립자 겸 CEO 젠슨 황은 양자컴퓨팅의 실용화까지는 아직 오랜 시간이 필요하다고 선을 그었습니다.🗣️
그런데 불과 두 달 후 열릴 GTC 2025(GPU Technology Conference 2025)의 프로그램을 살펴보면, CES에서 보인 젠슨 황의 태도와는 정반대의 기조가 펼쳐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어 놀라움을 안겨줍니다.🤔